티스토리 뷰
요즘 국민연금 신청하는 연령대가 줄어들어 조기연금과 연기연금 사이에서 고민을 하고 계신 분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연금은 노후 준비이기 때문에 확실하게 비교를 하고 신청하셔야 합니다.
정부에서 하라는대로 했는데 손해보는 기분이 들어 억울해하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예전에는 늦게 받더라도 때를 기다렸다 받는게 이득이다. 라고 생각했지만 요즘에는 오히려 일찍 받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올해 4월까지 국민연금을 신규로 신청하신 분들 중에서 조기연금의 신청 비중이 48%로 늘어나 절반에 가까운 신청자가 연금을 좀 덜 받는 대신에 일찍 받는 것을 선호하였는데요.
때를 기다렸다가 받는 것이 아닌 조기로 연금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왜 많아졌는지를 알아보고 조기연금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지, 연기연금을 선택하는 것이 더 좋은지를 비교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조기 연금 증가 이유 3가지
1. 노령 연금 수급개시 연령 상승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되는 연령이 높아짐.)
- 1952년생 까지: 60세 부터 수령
- 1953년생: 61세 부터
- 1965~1968년생 : 64세 부터
- 1969년생 ~ : 65세 부터
*지급 개시 연령에 도달시 매월 25일에 지급 방식
이렇게 원래는 52년생 이전 출생하신 분들은 지급 개시 연령이 60세였다가 69년생 이후부터는 65세로 늦춰지며 그때부터 지급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직업에 따라서 정년이 다르지만 법적으로 정년은 60대이고 정년 퇴직 후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시기까지 5년의 소득 공백이 생기기 때문에 손해를 보더라도 일찍 당겨서 받는 경우가 생깁니다.
2. 건강 보험료
작년 22년 9월 부터 건강보험피부양자 소득기준이 연 소득 3,400만원에서 2,000만원으로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공적 연금을 비롯한 총 연 소득이 2천만원을 넘으면 건강보험피부양자에서 탈락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강제로 훨씬 더 많은 건보료를 내야되는 지역가입자로 전환이 되는데요.
그렇게 되면 건보료가 0원에서 갑자기 수십만 원으로 늘어나는 상황이 생기게됩니다.
그래서 빨리 받는 대신에 조금 적게 받고 피부양자 자격을 유지해 건보료를 아끼는 쪽으로 선택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3. 한 살이라도 젊을 때 놀거나 투자하자.
한 살이라도 젊을 때 생활비나 여행비로 사용하거나 주식이나 재테크로 투자를 하기 위한 용도로 일찍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4. 국민연금 고갈 문제로 인한 연금 개혁 논의 진행
언제인지 확실하진 않지만 연금에 대한 미래가 불안하기 때문에 받을 수 있을 때 받아놓자 라고 미리 수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얼마씩 받을 수 있는데?
1년 빨리 받을 시에는 연 6%를 적게 받게 되는데 최대 5년을 빨리 받게 되면 평생 받는 연금이 30%로 줄어들게 됩니다.
반대로 최대 5년까지 늦춰서 받게되면 6%가 아닌 7.2%를 더 받게되어 총 36%가 늘어난다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원래 정상적으로 계산된 연금이 100만원이라 가정했을시에 5년 일찍 받는 경우에는 평생 70만원, 5년 늦게 받는 경우 평생 136만원 되는거죠.
어떤게 더 유리한데?
5년 일찍 70만원씩 받는 경우 80세 이후 부터 연금의 장점이 줄어들지만 81세 때는 다른 경우들과 수령 금액이 비슷합니다.
정상 시기 65세에 100만원 씩 받는 경우 82세에 다른 경우들 보다 제일 많이 받게 되지만 83세 이후부터는 줄어듭니다.
5년 늦게 136씩 받는 경우는 83세 이후부터 제일 많이 받기 시작합니다.
조기에 받는 것은 소득 제한은 있지만 자산기준은 없기 때문에 60세 이후에 소득은 없지만 미래의 자산을 처분해서 생활비로 활용할 계획을 가지신 분들에게 유리할 것이고, 일정한 소득이 있으신 분들에게는 늦게 받는게 유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해당되는 소득이란 근로, 사업, 임대 소득이며 *이자소득이나 연금소득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소득이 있다면 연금이 감면되는데 월 소득이 약 268만원 이상이라면 수령 시에 최대 5년까지 감액되어 받을 수 있습니다.
끝으로 재테크, 연금 전문가들은 총 수령액을 계산해서 83세까지 살아있으면 늦게받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말하지만 각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으로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지금 현재의 본인 재정, 소득, 건강 상태에 따라서 어떤게 본인에게 유리한 조건인지를 판단하신 후에 신청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영웅이 빌보드차트에 올랐다고?! (1) | 2023.08.24 |
---|---|
엔화가치 최저수준 엔테크 실패 없이 하는 방법. ETN,ETF 차이점까지 (0) | 2023.08.23 |
청년전세지원금 만 45세까지 30만원 전세 보증금 반환 보증료 지원 (0) | 2023.08.19 |
골프여제 박인비 IOC 선수위원 확정 (0) | 2023.08.18 |
노후경유차조기폐차지원금 신청방법 및 자격조건, 서류준비 (0) | 2023.08.17 |